안녕하세요?
오늘은 연말정산과 관련하여, 연금저축, irp에 대해 내용을 써 보려고 합니다.
제가 오늘 새벽에 일어나서, 갑자기! 연말정산이 걱정되서 .. 연말정산 모의계산을 해 봤는데요.
많이.. 내야 하는 상황이더라구요?ㅋㅋㅋㅋ ㅠㅠ
그래서 급히 오늘, 내일 중에 연금저축이든, irp든 가입하려고 알아보고 있습니다.
우선, 이 부분은 세액공제 중, 연금과 관련된 부분입니다.
- 우선, 연금 에는 공적연금, 퇴직연금, 개인연금이 있어요.
- 보통 이야기 하실때, 1층은 국가가 보장하는 국민연금, 2층은 기업이 보장하는 퇴직연금, 3층은 개인이 직접 준비하는 개인연금이라고 하더라구요.
- 저는 기업이 보장하는 퇴직연금과는 음 거리가 좀 먼 직종이고, 국민연금도 해당이 되지 않는 직업인데 임의가입도 하지 않았거든요. 많이 .ㅠ.ㅠ 걱정이 되곤 합니다. 그래서 11월 12월이 되면 항상 연말정산 때문에 걱정도 되면서, 노후 걱정도 더 되더라구요.
- 국가에서도 국가가 국민의 모든 노후를 보장 할 수 없으니, 개인적으로 가입하는 연금에 특별한 혜택을 부여하는 것 같습니다.

연금계좌에 대해 알아볼께요.
1. 연금저축: 개인연금에 해당하는 부분(내가 알아서 자발적으로 가입하고 혜택 보는 종류)
'연금저축계좌'란 일정기간 납입 후 연금형태로 인출할 경우 연금소득으로 과세되는 세제혜택 금융상품으로, 아래 금융회사 등과 체결한 계약에 따라 "연금저축"이라는 명칭으로 설정하는 계좌를 의미합니다.
가입시기에 따라 상품이 상이하니 아래 내용은 참고용으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
1) 연금저축의 종류 : 연금저축신탁(은행), 연금저축펀드(증권사), 연금저축보험(보험사)
- 연금저축보험 : 보험업법(제4조)에 따라 허가 받은 보험회사와 체결하는 보험계약
- 연금저축펀드/계좌 : 자본시장법(제12조)에 따라 인가 받은 투자중개업자(증권)와 체결하는 집합투자증권 중개계약 - - 연금저축 신탁 : 자본시장법(제12조)에 따라 인가 받은 신탁업자(은행)와 체결하는 신탁계약(현재 가입 불가)

지금 연금저축신탁은 가입을 할 수 없고, 보험은 싫으니, 만약 한다면 연금저축상품에서는 연금저축펀드를 해야할 것 같아요.

2. 퇴직연금-그 중 IRP (개인형 퇴직연금)
: 퇴직 또는 이직 시 발생하는 퇴직금과 추가납입을 운용하여 55세 이후에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상품으로, 소득이 있는 모든 고객이 가입 가능합니다.
만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 가능하며, 연간 1800만원 한도로 납입 가능한 상품입니다.
3. 연금저축과 IRP 비교(출처: 금융감독원 연금포털)
가. 연금저축과 IRP는 세액공제 연금상품이라는 점에서 유사하지만, 공제한도, 운용규제, 일부(중도)인출 유무 등에 차이가 있습니다.
나. IRP는 '근로소득자'로 가입이 제한되고, 주식형 펀드, ETF등 위험자산에 대해 투자한도(70%) 규제가 적용되고, 일정사유 외에는 일부인출이 불가능합니다. (일정사유: 요양, 개인회생.파산, 천재지변.사회적재난, 주택구입.전세보증금 등)
다. 연금저축은 가입자격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, 위험자산 투자한도에 대한 제한이 없고, 일부 인출이 자유롭습니다.(다만, 인출시 세제상 불이익이 있습니다.(기타소득세 16.5% 부과)
라. 세액공제 비교

4.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 중, 금융꿀팁 200선 중, 아래 사례는 제가 알고 싶었던 내용이라 공유합니다.
(출처: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)
- 사례1: 공제한도- 근로소득자인 A씨는 연말정산을 최대한 받고자 하는데, 어떤 연금상품에 가입해야 할지 고민 하고 있음.
-> 연말정산시 연금상품 세액공제 혜택은 IRP와 연금저축을 합산하여 700만원까지 가능하나, 연금저축은 최대 400만원까지만 세액공제가 가능(종합소득 1억원(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총 급여액 1.2억원) 초과시 300만원) 하므로 세액 공제 한도(700만원)을 채우기 위해서는 추가로 IRP 가입이 필요함.
저는 오늘 이 내용 공부하면서, 연금저축 400만원, 그리고 IRP300만원을 넣기로 했어요.
- 제가 쓰고 있는 한국투자증권에 연금저축 오늘 중에 가입하고, IRP는 내일 아침에 제가 거래하는 주거래은행(농협)에 전화해서 물어볼 내용도 확인하고, 가입하고자 합니다.ㅎㅎ
돈이 오랫동안 묶이고, 중도에 인출시 세제상 불이익이 있다는 점, 그리고 정규직이 아니라는 점 때문에 가입을 망설였지만, 이번 연말정산때 안그러면 큰일 날 것 같아서요ㅠ.
없는 돈으로 생각하고, 넣어놔야겠습니다.ㅎㅎ
여러분들도, 아직.. 연말이 29일/30일 남았으나, 빨리 고민하시고, 30일중에 필요하신분들은 가입해 보면 좋을 것 같아 올려봅니다.
오늘도 감사합니다.
'경제공부하기(+재테크) > 기타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캐쉬백 안내 (0) | 2023.01.03 |
---|---|
직장인 - 연말정산 (2022년 귀속분(23년 연말정산) 변경사항) (0) | 2022.12.30 |
연말정산 대비- 국세청 홈택스 연말정산 세금모의계산 해 보기 (0) | 2022.12.29 |
제주시농협ㅡ자유적금ㅡ3년기준 5.4에서 5.8프로 (0) | 2022.12.19 |
연말정산 대비 1탄-총급여액, 근로소득공제, 근로소득금액 계산 방법 (0) | 2022.12.13 |